본문 바로가기
생활-여행

‘누리호 4차 발사’ 언제 어디서 보나?|발사 일정·관람 포인트·촬영 장비 추천

by Mansur3 2025. 11. 21.
반응형

누리호 4차 발사는 2025년 11월 27일 새벽 나로우주센터에서 진행됩니다. 발사 시간·관람 명당·주차·동선 최적화, 촬영 팁(망원렌즈·삼각대)과 필수 준비물까지 정리한 관람 가이드. 위성 13기 정보와 공식자료 링크로 정확한 발사 정보를 빠르게 확인하세요. 

※ 발사 시각은 기상·기술 점검으로 변경될 수 있으므로 발사 D-1, D-0에는 반드시 공식 채널 공지를 확인하세요.

nuri-4th-launch-schedule-viewing-points-and-recommended-filming-equipment
누리호에 실린 차세대중형위성 3호 (출처: 조선일보)

 

 

1. 언제·어디서 보나 — 누리호 발사 일정·시간·장소

발사일(공식) 2025-11-27 (목)
발사시간(공식 예비) 00:54 ~ 01:14 사이 (발사 당일 최종 확정)
예비 윈도우 2025-11-28 ~ 2025-12-04
발사장 나로우주센터 (전라남도 고흥)
탑재 위성 수 총 13기(주탑재 1기 + 부탑재 12기) 

위 시간이 공식 공지에 따라 정해졌습니다. 누리호 발사 직전(마지막 24시간)에는 실제 발사 시각이 확정되므로 공식 SNS/보도자료·중계 채널을 수시로 확인하세요. 

2. 실시간으로 보는 방법 — 공식 스트리밍 & 백업 옵션

  • 공식 중계(우주항공청·항우연 채널) — 유튜브·공식 SNS 계정에서 실시간 스트리밍 제공(발사 D-0 공지 참조)
  • TV·뉴스 플랫폼 — 주요 방송사(종합 뉴스, 과학 프로그램)에서 현장 중계가 나옵니다.
  • 현장 관람 — 나로우주센터 지정 관람구역 또는 주변 공공 전망 포인트에서 관람 가능(운영일·출입통제 확인 필요)
  • 모바일 백업 — 무선 데이터 문제를 대비해 Wi-Fi/모바일 데이터 대체 수단과 공식 스트리밍 링크를 미리 북마크해 두세요.

참고: 우주과학관은 발사일 전후로 휴관·출입통제가 시행될 수 있으므로 방문 계획 전 반드시 나로우주센터 공지를 확인하세요.

 

3. 누리호 4차 발사 관람 포인트 & 명당 7선 (발사 장면을 가장 잘 보는 위치)

나로우주센터 주변에는 누리호 4차 발사 공개 관람구역 외에도 사진·영상 촬영에 유리한 명당들이 있습니다. 안전거리·출입통제는 발사 운영 공지에 따르세요.

  1. 나로우주센터 지정 관람구역 — 안전·안내 제공, 초보자 추천. (공식 운영)
  2. 고흥우주발사전망대 — 시설화된 전망대, 주차·편의시설 우수.
  3. 외나로도 방파제 — 수평선 배경에 발사체 실루엣이 선명 (망원 촬영 최적).
  4. 자구내 해수욕장 — 낮은 시점에서 장노출 촬영 가능.
  5. 팔영대교 적금리 휴게소 인근 고지 — 고지대에서 전체 궤적 파악 가능.
  6. 해안가 작은 포인트(동측 해안) — 발사 직후 불꽃·연기 흐름이 잘 보임.
  7. 우주과학관 전망대(개방 시) — 전시와 함께 관람 가능(발사 근처 운영 변동 가능).

명당은 발사 당일 관람객 밀집 정도·출입 통제·기상에 따라 달라집니다. 개인 차량 보다는 숙소 근처에서 이동하는 것이 유리합니다.

7-best-viewing-points-and-locations
고흥우주발사전망대 (출처: 남도일보)

4. 누리호 발사 촬영 장비 추천 & 세팅 팁

누리호 발사 촬영은 순간 포착이 핵심입니다. 장비 추천(제휴 링크/CTA)을 통해 수익화를 권장합니다.

추천 장비

  • 카메라 — 연사 성능 좋은 미러리스/DSLR (풀프레임 권장)
  • 렌즈 — 망원 줌 200–600mm(풀프레임 기준) 또는 100–400mm(크롭바디 시 체감 화각 상승)
  • 삼각대 — 튼튼한 삼각대(저중심 세팅 가능), 3/8" 규격 플레이트
  • 보조배터리/대용량 메모리 — 연사 시 용량 확보 필수
  • 귀마개 — 큰 소음 대비 필수 장비

세팅 기본값(권장)

항목 권장값
셔터속도 1/500 ~ 1/2000 (연사 상황에 맞춰)
조리개 f/5.6 ~ f/8
ISO 100 ~ 800 (주간 기준)
포커스 AF-C(연속 추적) 또는 MF 프리포커스(거리 고정)
파일형식 RAW + 백업 JPG

촬영은 현장 변수(바다 반사·역광·풍속)에 크게 좌우됩니다. D-1에 미리 리허설(장비 조작·초점 거리 확인)을 권장합니다.

 

5. 안전 수칙 & 출입 통제 (중요)

  • 공식 관람구역 및 운영본부 안내에 따르기 — 출입통제·안내요원 지시에 무조건 협조
  • 드론·무단 근접 촬영 금지 — 공역 규제로 인한 법적 제재 가능
  • 귀마개·방풍·보온 대비 — 새벽 발사인 경우 기온 저하와 강풍 주의
  • 응급구조·대체 이동 경로 숙지 — 발사 직후 인파 이동 시 안전 확보 필요

나로우주센터는 발사일 주변으로 우주과학관 휴관 및 출입통제를 공지한 바 있으니 사전 확인하세요.

 

6. FAQ

Q1. 발사 당일 나로우주센터 내부에서 관람 가능한가요?

A1. 발사 운영 공지에 따라 나로우주센터 우주과학관은 발사 시 휴관 및 출입통제가 시행될 수 있습니다. 지정 관람구역의 개방 여부는 발사 운영 공지를 확인하세요.

Q2. 발사 시간에 딱 맞춰가면 볼 수 있나요?

A2. 인기 명당은 발사 수시간 전부터 사람들이 모입니다. 좋은 위치 확보를 위해 최소 3~5시간 전 도착을 권장합니다.

Q3. 밤/새벽 발사라 촬영이 어렵습니다. 어떻게 하죠?

A3. 야간/새벽 촬영 시에는 ISO·조리개 조정과 삼각대 고정이 필수입니다. 또한, 공식 스트리밍을 백업으로 준비하면 결정적 장면을 놓치지 않습니다.

 

7. 공식 근거자료(바로가기)

• 우주항공청(KASA) 보도자료(발사일·예비 윈도우·발사시간 발표) — KASA 보도자료
• 한국항공우주연구원(KARI) 나로우주센터 공지(우주과학관 휴관·출입통제·관람 추천 장소) — KARI 나로우주센터 공지
• 주요 언론 보도(탑재 위성 13기·야간 발사 등) — 조선비즈 보도.

 

8. 촬영 장비·숙소·교통 바로가기

 

※ 발사 일정·관람구역·출입 규정은 운영·기상 상황에 따라 변동될 수 있습니다. 발사 당일 최종 정보는 위 '공식 근거자료'를 반드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9. 함께 보면 좋은 글

반응형